본 내용에 앞서 당부의 말씀
야매말이 맞다!! 가 아닌 그저 댓글의 의견에 대한 궁금증으로, 확인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댓글 작성자의 의견을 폄하하려는 의도는 결단코 없으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아울러 야매의 테스트는 말 그대로 언제나 '야매'이니 참고만 하세요. 참고만.....
작년 말 부터 Netac NV7000 NVMe기 힛 하디 못 해 불타오르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고장 소식들이 속속 올라오고있고,
고장에 대한 원인 분석부터, 실험 테스트 아주 많습니다.
퀘이사존에서 이런 내용의 댓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각각 서로 다른 게시글의 댓글이고,
다른 부분은 다 모르겠고 (관심도 없음..) 빨강 밑줄이 가장 궁금했습니다.
최근 같은 내용의 댓글이 스사모에도 있는 것 보니,
동일 회원인 듯싶습니다.
먼저, 완전 무부하 상태의 온도입니다.(전원만 연결해 줌)
이미지 재탕..ㅠㅠ
색상은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입니다.
온도를 봐야 합니다.
제가 소유한 열화상 카메라는 최고, 최저, 화면 중앙 온도를 표시해 주는데요.
공교롭게도(?) 저 회원분이 언급한 OCXO가 가장 낮은 온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 이미지 재탕..-_-
더티테스트 직후 102℃가 관찰되어 더티테스트 중단 후 급랭하는 상황입니다.
전체적으로 급랭을 한터라 변화는 있으나 어느 부위가 어딘지 알 수가 없음...ㅠㅠ
이미지 또 또 재탕...ㅋㅋ
더티테스트 중 온도변화 관찰 중,
컨트롤러 주변 온도가 80℃가 넘도록 색상 변화가 거의 없는 부분이 보이실 겁니다.
또 공교롭게도 회원분이 언급한 OCXO 부분입니다.
이 정도면 충분히 설명이 된 듯하고요.
이제 메인...
추가로 덧붙여 놓은 5mm 서멀 패드는 발열이 심하던 소자와 잘 밀착이 되었습니다.
메인보드를 셋팅합니다.
아이들 상태의 OCXO라는 부분의 온도.
OCXO러는 부분 히팅건으로 가열 직후의 상황
낸드 부위 히팅건으로 가열
낸드 부위 집중 급속 냉각
테스트를 종합해 보면
해당 소자는 Temp1, Temp2와 관련이 없음
해당 소자는 온도 센서가 아님
해당 소자는 OCXO가 아님
OCXO, crystal, oscillator 외형은 비슷하게 생겼으나,
OCXO는 내부 구조상 crystal 과 oscillator에 비해 부피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각 차이점은 검색 바랍니다.
소자류는 1차로 외형.
2차로 각인으로 구분합니다.
25.000 MHZ라는 각인으로 검색해보면,
크리스탈과 오실레이터가 찾아집니다.
HWINFO 7.36 버전 미만은 Temp 1 컨트롤러 온도, Temp 2 낸드 온도
HWINFO 7.36 버전 이상부터는 Temp 1, 2 컨트롤러 온도, Temp 3 낸드 온도
재밌는 부분?
낸드 온도가 100℃를 초과하면 치명적 경고 2회가 누적되고 그 이상 증가하지 않음.
냉각하면 다시 0으로 돌아옴
마지막 온도 센싱 후 무려 3분 10초가 넘도록 반영이 안 됨...-_-
NV7000 특성이라고 하기에는 Crystal Disk Info가 너무 잘 표시해 줌,
NVMe to PCIe를 거쳐서 그런가 싶다가도 Crystal Disk Info는 너무나도 잘 표시해 줌
다른 NVMe SSD로 확인하면 되지만...
이것 확인하느라고 한나절을 낭비........-_-
안 해!!ㅋㅋ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on AM630 256GB NVMe SSD 실제 온도. (0) | 2023.04.26 |
---|---|
Netac NV7000 1TB NVMe SSD 후면 온도 및 히트싱크 장착상태의 온도. (0) | 2023.04.23 |
Kingston NV1 500GB 초 간단 벤치 (With 원이아빠님 USB3.0연장 케이블, ASM2362 인클로저) (0) | 2022.10.07 |
Kingston NV1 500GB 도착 및 간단 낸드 확인 (0) | 2022.09.30 |
삼성 SSD 850PRO 128GB 전류측정 (2) | 2021.07.13 |